SQL 32

[SQL] SQL과 RDBMS (관계형 DBMS), DBMS 유형 정리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구조화된 질의 언어"라는 의미를 가진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표준화된 언어를 말한다. SQL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쿼리를 전달하여 데이터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1980년대 후반 국제표준화기구(ISO)와 미국국립표준협회(ANSI)에서 RDBMS의 표준 언어로 SQL을 채택했다. 표준이란 의미는 '표준' SQL 구문만 학습하면 Oracle은 물론 MSSQL, DB2 등 여러 DBMS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물론 각각의 DBMS별로 차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 비해 그 차이는 적은 편이기 때문에 SQL을 한 번만 학습하면 DBMS에 구애되지 않고..

DB/SQL - Oracle 2024.01.28

[SQL] 문자(열) 데이터 타입 - char, varchar, varchar2

char, varchar, varchar2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문자(열)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속성이다. 문자형 데이터라고도 말한다. 세 가지 모두 ANSI SQL 표준에 따라 정의된 데이터 유형으로 주로 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문자(열) 데이터 타입에는 위 3가지 말고도 nchar, nvarchar2, long이 있는데 자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번 글에서는 생략하고자 한다. 먼저 알아둘 점은 한글은 한 글자당 2byte, 영문과 숫자는 한 글자당 1byte를 차지한다는 점이다. (참고로 UTF-8에서 한글은 한 글자당 3byte를 차지한다.) 문자열을 DB에 저장할 때는 위 3가지의 속성의 특징과 더불어 정의된 필드에 최대 몇 바이트까지 저장 가능하도록 정의하는 것이 적절한지 ..

DB/SQL - Oracle 202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