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2

[Web]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의 통신 : HTTP, DNS, 라우터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자주 접하는 클라이언트는 구글 크롬과 같은 웹 브라우저일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로, HTTP라는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서로 통신한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통신하는 것인지 살펴보자. 먼저 구글에 접속해본다고 상황을 가정해보면, 보통 www.google.com 라는 구글의 도메인 네임을 통해 접속한다. 구글 웹 서버의 IP 주소를 알아내서 접속하지 않는다. 하지만 서버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내서 접속하려면 IP주소와 포트번호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했었는데, 구글 도메인 네임만으로 어떻게 접속이 가능했던 걸까? 그 사이에는 DNS(Domain Name System)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클라이언트가 구글 서버..

Web/Network 2024.01.28

[Web] 웹 개발의 시작 - client와 server의 개념

처음 웹 개발을 접하게 되면 가장 먼저 client와 server에 대해 배우게 될 것이다. 위 구성도는 웹 개발에 대한 큰 흐름을 아주아주 요약된 버전으로 보여준 것인데, 웹 개발을 어느 정도 공부하고 나니 이 흐름에 대해 계속해서 생각하는 것이 개발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깨닫게 된다. 위 이미지를 토대로 웹 통신과정을 클라이언트와 서버 개념을 활용하여 설명해보면, client가 기본동작을 통해 요청(request)하면 server에서 이를 처리하고 데이터를 DataBase에 저장하고 ​client의 요청에 대해 응답(response)한다. 이때 client는 웹 브라우저를 사용한다. 정도로 설명해볼 수 있겠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Web/Basic 202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