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3

[Web] HTTP 메서드 (1) GET / POST 방식 + 멱등성, HTTP 요청바디

보통 자원을 조회하거나 검색할 때는 GET 방식을, 자원을 생성(등록)하는 경우 POST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황과 기능에 맞는 메서드를 지정하기 위해서 이번에는 GET과 POST 메서드의 상세한 특징에 대해 주요 키워드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안전한' 메서드와 '멱등성' GET 메서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해당 요청이 '안전한 요청'이어야 한다. 여기서 '안전하다'는 의미는 해당 요청이 서버의 자원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 HTTP/1.1 명세 문서를 참고하면, GET, HEAD, OPTIONS가 각각 안전한 메서드라고 나와 있다. GET 메서드 API를 '안전한 메서드'로 만드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GET 메서드는 특히 웹 브라우..

Web/Basic 2024.02.27

[Web] 프로토콜(Protocol) : HTTP, TCP, UDP, IP + Port(포트번호) 그리고 OSI 7 Layer

먼저, 프로토콜이란 무엇일까? 프로토콜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통신방법에 대한 약속이 필요한데, 이때 이 약속이 프로토콜이다. "통신규약"이라고 말한다. 웹 통신에 주로 쓰이는 IP, TCP, UDP, HTTP 모두 프로토콜에 해당하며 이번에는 위 4가지 프로토콜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프로토콜은 아래의 OSI 7 Layer에 의해 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OSI 7 Layer(OSI 7계층) ? OSI 7 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해서 바이블로서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는 OSI 7 Layer(OSI 7계층)를 통해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 각 Level에 대해 좀 더 ..

Web/Network 2024.02.10

[Web] HTTP와 HTTPS(HTTP Secure), SSL/TLS, 핸드셰이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웹 통신에서는 통신 프로토콜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가 주로 사용된다. HTTP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웹 페이지의 요청과 응답이 이루어진다. HTTP 프로토콜은 요청과 응답이라는 두 가지 주요한 메시지 형식을 사용한다. 클라이언트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에게 보내고, 서버는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낸다. 이러한 요청과 응답 메시지는 특정한 구조와 규칙에 따라야 하는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클라이언트가 HTTP를 사용하여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Web/Network 2024.01.30